[[ magazineDetail.magazineCategoryName ]]
생리 멈추면 갱년기가 시작된다?
[[ magazineDetail.date ]]
생리가 멈추면 갱년기가 시작된다?
‘얼굴이 빨개지고 더웠다가 추웠다가 한다는데.. 정확히 뭔지는 잘 모르겠어’
아마 갱년기에 대해서는 열이 올라 힘들어하는 모습을 가장 먼저 떠올리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다 겪는 거니까 알아서 지나가겠지'라는 생각으로 가볍게 넘기시는 분들이 많아요.
하지만, 갱년기는 20~30대에 경험할 수도 있고 갱년기 증상이 심해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을 겪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한 관리를 함께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갱년기는 언제 어떻게 나타나는 것이고 또 어느 부분을 신경 써야 하는 것인지, 소문만 무성한 갱년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
갱년기는 보통
45세~55세에 경험해요.
갱년기는 평균적으로 중년의 시기인 40~50대 정도에 생기는 걸로 알고 계실텐데요. 평균적으로 갱년기는 보통 45세~55세 시기에 겪게 됩니다. 갱년기는 개인의 체질이나 영양상태 등의 차이에 따라 발현 시기는 조금씩 다를 수 있는데요. 이러한 갱년기는 폐경(완경)이 시작되는 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폐경(완경)은 신체의 노화로 인해 자연스럽게 겪게되는 현상으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데요. 난자를 배란하고 에스트로겐과 같은 여성호르몬을 분비하는 난소가 노화로 인해 기능이 저하되면서 자연스럽게 폐경(완경)이 나타나게 되니다.
이때 폐경(완경)은 어느 날 갑자기 생리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폐경(완경)이 시작되기 4~5년 전부터 여성호르몬 분비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생리주기도 평상시와 달리 불규칙적으로 바뀌는 등의 증상과 함께 찾아오는데요. 이 상태가 지속되어 약 1년 정도를 생리 없이 보내는 시기를 완경 시기, 즉 갱년기라고 이야기합니다.
-
최근에는 조기폐경도
늘어나고 있어요.
갱년기는 초경만큼이나 중요한 시기일 뿐만 아니라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데요. 이 증상들이 개개인마다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심한 경우 일상 생활에 어려움이 있을 정도로 힘들게 보낼 수도 있기 때문에 잘 알아두는 것이 중요해요.
특히, 갱년기에는 여성호르몬 분비가 저하되어 또 다른 성인병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내 몸이 보내는 신호를 잘 인식하는 것이 필요한데요. 최근에는 불규칙적인 생활습관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20~30대에도 갱년기를 겪는 중인 분들도 많습니다. 이 경우를 '조기폐경'이라고 하는데요. 그 숫자가 매우 크지는 않지만 20대에도 갱년기 증상이 나타난다면 조기폐경의 염려가 있으므로 조기에 병원을 찾아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
내 몸이 보내는 신호를
기록하는 것이 중요해요.
갱년기가 다가오고 있구나를 가장 빠르게 알 수 있는 것은 내 몸이 보내는 신호를 빠르게 캐치하는 것인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 내 몸은 어떤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월 생리주기를 기록하고 생리주기에 따른 신체 증상을 체크해두거나 피임약을 얼마나 장기간 복용했는지 등등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몸의 변화를 미리 알고 있다면 변화하는 내 몸의 신호로 빠르게 파악하실 수 있으실꺼에요.
-
먼슬리씽과
건강한 일상을 보내보세요.
먼슬리씽은 일상 생활 및 신체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기록할 수 있는 다이어리 기능이 있는데요. 생리주기는 물론 복용하고 있는 약, 임신확률까지. 일상 속 작은 습관을 통해 내 몸과 친해지는 것은 물론 더욱 건강한 일상을 보내는 것, 먼슬리씽과 함께라면 가능합니다.
<본 콘텐츠는 전문의의 자문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갱년기 #갱년기증상 #다이어리 #먼슬리씽
[[magazineDetail.tags]]